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뉴스레터

"제주 개인정화조서 하루 2만9천t 하수 방류…지하수 오염 우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60회 작성일 24-06-11 16:15

본문

제주도의회 미래환경특위 정책 포럼서 관리 방안 논의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제주도의회 미래환경특별위원회는 27일 오전 제주시 호텔난타에서 '2회 미래환경특별위원회 정책 포럼'을 열었다.

f44b442455f5c8801a184fc731f3afea_1718090092_5496.png

제주도의회 전경

[제주도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 지하수 자원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개인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 포럼은 개인하수처리시설 운영과 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지하수 오염 예방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이장훈 한국생활악취연구소장은 '개인하수처리시설이 제주도 자연수계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정화조로 인한 환경오염 우려를 제기했다.

 

개인하수처리시설로 분류되는 정화조는 하수처리장과 거리가 있어 공공하수도 연결이 힘든 하수처리구역 외 지역 건축물에 설치한 수세식 변기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다.

 

이 소장이 환경부 등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제주지역 하수처리구역 이외 지역에 설치된 정화조 시설은 8244(제주시 169·서귀포시 875).

 

그는 "수세식 변기에서 정화조로 유입되는 하수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400ppm 정도로 현행법상 BOD 제거율 50% 이상 기준만 충족하면 이를 방류할 수 있다""하지만 기준을 충족한 정화조 방류수 BOD 200ppm은 제주지역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유입되는 하수 BOD184.5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오염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대로 정화되지 않고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하천과 바다로까지 유입될 수 있는 제주지역 정화조 방류수량만 하루 28999t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상황이지만 개인하수처리시설 현황 등 관련 통계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며 "이를 정비하고 개인하수처리시설 유지관리 실정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연구용역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진근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장은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 기술지원'이란 사례 발표를 통해 센터에서 추진 중인 개인하수처리 시설개선 지원사업에 관해 설명했다.

 

센터는 개인하수처리시설을 방문해 방류수 수질검사와 문제점 진단, 기술 자문 등을 벌이고 있다.

 

[백나용 기자 (dragon.me@yna.co.k)]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